엔비디아(NVIDIA) 주가 하락 : DeepSeek 충격이 매수 기회일까? (엔비디아 대폭락, 정말 망한걸까?)
엔비디아의 주가 폭락
한국시간으로 1월 27일 월요일에서 화요일로 넘어가는 새벽에 엔비디아의 주가가 17%이상 급락하면서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게되었습니다.
코로나 이후로 제일 큰 낙폭을 맞이하게 된 엔비디아는 이번 폭락사태로 인해 한화로 약 880조원의 시가총액이 증발해버리면서 시가총액 1위에서 3위까지 밀려나게 되었습니다.
주가가 급락한 이유로는 중국의 AI 스타트업인 DeepSeek의 기술 발표가 주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데요.
GPU의 의존도를 낮춰 저가의 비용으로도 고성능의 AI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엔비디아의 실적 전망이 안좋아 질 것이라는 우려속에 주가는 큰폭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딥시크(DeepSeek)의 기술발표
딥시크(DeepSeek)는 자사에서 출시한 무료 모델인 R-1이 오픈 AI(Open AI)의 Chat GPT - 4 o1을 능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딥시크의 R-1 모델은 AIME 2024에서 79.8%, MATH-500에서 97.3%의 정확도를 기록했으며, 이는 OpenAI의 o1 모델과 비슷하거나 일부 영역에서는 더 나은 성능입니다.
또한 딥시크는 자사의 모델을 MIT 라이선스에 오픈소스로 공개하면서 외부 검증을 가능하게 하는 투명성을 보여준다는 부분에 있어서 주목할만한 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딥시크(DeepSeek)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비용을 절감하고 GPU 의존도를 크게 낮췄다고 발표했는데요.
1. 데이터 압축 기술 활용
데이터를 압축하여 처리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2. 전송 과정 최적화
데이터 전송 시 병목 현상을 줄이는 기술을 적용했습니다.
3. 소프트웨어 최적화
GPU 사용을 최적화하는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4. 저사양 GPU 활용
엔비디아의 H800 GPU를 사용하여 고성능인 A100, H100대신 저렴한 모델인 H800을 활용하여 비용을 크게 감소시켰습니다.
5. 효율적인 설계
약 2,000개의 GPU로 2개월 만에 고성능 AI 모델을 완성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딥시크(DeepSeek)의 비용절감
실제 이런 효과 덕에 기존에 AI 모델을 학습하는데 드는 비용을 1/10 수준으로 줄인 것으로 발표했는데요.
딥시크는 총 개발비용이 약 550만달러로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오픈 AI의 GPT-4의 개발비용인 1억 달러 이상의 5%, 메타의 AI 인프라 투자 계획 지출인 650억 달러의 약 0.001% 수준에 불과합니다.
말도 안되게 저렴한 비용에 개발했다는 소식을 들은 전문가들은 비용에 있어서 이전 연구 개발(R&D) 비용과 합성 데이터 생성 비용, 오픈소스 모델 활용 비용, 대규모 교사 모델 훈련 비용, 인프라 및 인건비가 포함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있는데요.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한다면 딥시크의 실제 총 개발비용은 공개된 금액보다 상당히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개된 비용만으로 다른 AI 기업들과의 직접적인 비교를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엔비디아는 정말 망한걸까요?
미국과 중국간의 AI 패권 전쟁
스타게이트 프로젝트(Project Stargate)
그걸 알아보려면 먼저, 미국과 중국간의 AI 패권 전쟁과 시장의 규모를 먼저 살펴보면 알 수 있는데요.
미국은 AI 산업에 있어서 글로벌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를 하고있죠?
최근 미국에서는 공격적인 투자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Project Stargate)는 5000억 달러 규모의 민간 투자 계획 프로젝트인데요.
마이크로소프트사와 손을 잡은 오픈AI(OpenAI), 오라클(Oracle), 소프트뱅크(SoftBank), MGX 가 함께 하게되는데요.
OpenAI는 운영을 책임하고 SoftBank는 재무를 책임지며 Oracle은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MGX는 UAE 기반 투자사이며 기술 파트너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엔비디아(NVIDIA), 암(ARM)을 선정했습니다.
듣기만해도 든든한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과 함께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요. 반면에 중국은 어떨까요?
요소 | 미국 | 중국 |
투자 규모 | $5000억 이상 투자 계획 | 연간 약 $220억 |
AI 기업 수 | 9,500 | 1,944 |
투자 건수 | 59,534 | 8,194 |
총 투자액 | $6054억 | $856억 |
중국은 여전히 핵심적인 기술적 우위에 있어서 밀리고 있는 추세이며, 고급 반도체 기술에서는 미국의 의존을 지속할 수 밖에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물론 중국내에서도 자국에서 만들 수 있는 반도체를 개발하려고 노력중이지만 중국이 미국의 자본과 인프라를 이기긴 아직까지 역부족이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서 AI와 관련된 하드웨어(H/W) 의 수요가 굉장히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번에 발표한 중국의 AI 기업인 딥시크 또한 엔비디아의 반도체를 사용했기 때문에 엔비디아의 수요층은 아직 탄탄한 것으로 보입니다.
엔비디아의 전망
그렇다면 기업의 펀더멘탈, 장기적인 전망은 어떨까요?
글로벌 AI 시장 성장
글로벌 AI 시장은 연평균 3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엔비디아와 같은 선두 기업에 있어 더욱 더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밖에 없다고 보는데요.
엔비디아의 압도적인 점유율, 고객의 충성도
엔비디아는 여전히 AI 및 데이터센터 칩 시장에서 선두를 유지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인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등의 신뢰를 받고 있습니다.
AMD와 같은 경쟁사도 AI 칩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엔비디아(NVIDIA)는 소프트웨어 생태계인 CUDA등을 통해 고객 충성도 측면에서 여전히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강력한 재무상태
또한 높은 EBITDA 마진(66%)과 강력한 현금 흐름(570억 달러)을 통해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자사주 매입이 가능하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애널리스트(전문가)의 의견
대부분의 분석가(애널리스트)들은 이번 하락을 단기적인 시장 조정으로 보고 있으며 30~40% 이상의 상승 잠재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투자 관점에서 본 이번 하락
현재 주가는 과거 고점 대비 낮아져 있어 상대적으로 매력적인 밸류에이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DeepSeek 기술에 대한 우려는 과장되었다는 분석도 존재하며, 엔비디아의 기술적 우위는 여전히 견고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리스크 요소 또한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데요.
엔비디아의 주 고객인 중국과 미국 간 기술 경쟁 심화 및 무역 규제 가능성 또한 엔비디아의 큰 리스크 중 하나입니다.
또한 AI의 기술 발전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경우 GPU 수요가 감소하게 될 가능성이 어느정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엔비디아의 주가 하락은 단기적인 시장 과민 반응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기적으로 볼 때, 엔비디아는 AI 및 데이터센터 분야에서 강력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어 매수 기회로 활용할 만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 전 개인의 리스크 허용 범위를 고려하여 분산투자 혹은 분할 매수를 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엔비디아는 단순히 AI 칩 제조사가 아닌 AI 생태계 전반을 선도하는 기업이라는 점을 잊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으로 봐야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업 및 투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란티어 급등, FOMO 오는데 살까요? (2) | 2025.02.05 |
---|---|
팔란티어(PLTR),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 : AI 혁명 선두주자의 미친 폼을 보여주다. (시간 외 22% 폭등 왜? / 주가 분석) (3) | 2025.02.04 |
메타(Meta) 실적발표 : 2024년도 4분기(2024FY 4Q) (2025/1/30) (1) | 2025.01.30 |
마이크로소프트 실적발표 : (Microsoft, MSFT) 25FY 2Q(24년10~12월) (25/1/29) (9) | 2025.01.29 |
1월 5주차 미국 증시 주요 기업 실적 발표 일정 (테슬라,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비자, 마스터카드, 액슨모빌, 셰브론, 인텔, 스타벅스, IBM, 보잉) (5) | 2025.01.26 |
1월 19일 미국 내 틱톡 금지법 발효, 틱톡 누가 인수하나? (9) | 2025.01.20 |
글루코트랙(Glucotrack, GCTK) 주가분석 (15) | 2025.01.14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경제 정책이 미국 증시에 미치는 영향 (12) | 2025.01.14 |
댓글